카테고리 없음

2. wRC+, 타자의 진짜 공격 효율

desire2025 2025. 10. 26. 20:22

“타율보다, 팀 득점에 얼마나 기여했는가?”

“누구 빠타가 최고인가?”

 

야구는 결국 점수를 많이 내는 팀이 이깁니다.
하지만 단순히 “안타를 많이 쳤다”는 것이 득점으로 이어지진 않습니다.
볼넷으로 출루한 타자도 점수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,
희생플라이 하나로도 경기의 흐름이 달라지기도 합니다.
이 모든 공격 행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가 바로 **wRC+ (Weighted Runs Created Plus)**입다.

 

구분 설명
정의 평균 대비 득점 효율 지표 (100=리그 평균)
계산 요소 출루, 장타, 볼넷, 희생타 등 모든 공격 행동
해석 기준 120+: 올스타 / 150+: MVP급

타격자세


① wRC+의 정의

**wRC+**는 타자가 한 시즌 동안 평균적인 타자에 비해 팀의 득점 생산에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  • 100 = 리그평균

  • 120 =  평균보다 20% 더 많은 득점을 만들어냈다는 뜻.

  • 80 = 평균보다 20% 적은 득점을 올렸다는 의미 입니다.

즉, wRC+는 단순한 타격률이 아니라
“득점 효율”을 상대 비교한 지표입니다.


② 계산 원리 (쉽게 설명)

wRC+는 복잡한 계산식으로 구성되지만,
핵심은 **wOBA(가중 출루율)**을 기반으로
리그 전체 평균과 구장 효과를 반영해 표준화 하였습니다.

wRC+=((wOBA−리그평균wOBA)wOBAScale+리그평균득점/타석)/(리그평균득점/타석)×100wRC+ = \left(\frac{(wOBA - 리그평균wOBA)}{wOBAScale} + 리그평균득점/타석\right) / (리그평균득점/타석) \times 100wRC+=(wOBAScale(wOBA−리그평균wOBA)​+리그평균득점/타석)/(리그평균득점/타석)×100

이 복잡한 수식을 쉽게 풀면 다음과 같다 👇

“출루, 장타, 희생플라이, 볼넷 등 모든 공격 행동을 득점 기대치로 바꿔,
리그 평균 대비 몇 퍼센트 더 효율적인 공격을 했는가?”

따라서 단순히 안타가 많다고 wRC+가 오르지 않는다.
볼넷, 장타, 희생타, 주루를 통한 추가 진루 같은 모든 플레이가 반영됩니다.


③ 어떤 행동이 wRC+를 올리거나 내리는가

wRC+는 득점 창출과 관련된 모든 행동의 ‘가치’를 평가합니다.

행동 wRC+에 미치는 영향
볼넷, 사구로 출루 긍정적 (+)
2루타, 3루타, 홈런 크게 긍정적 (+++)
삼진, 병살타 부정적 (-)
희생플라이, 땅볼 타점 소폭 긍정적 (+)
주루사, 병살 부정적 (--)

예를 들어, 타율은 낮더라도
볼넷을 자주 얻고 장타를 치는 타자는 wRC+가 높게 유지됩니다.
반면 타율이 높아도 출루율이 낮고 장타가 없는 타자는
득점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wRC+가 낮게 나옵니다.


④ KBO 대표 선수 예시

양의지 (두산 베어스)
2023시즌 wRC+ 약 160으로, 리그 평균보다 60% 높은 공격 효율을 보였습니다.
포수로서 장타력(홈런 17개)과 출루 능력을 동시에 갖춘 대표적 예시 입니다.
단순 타율(.305)보다 팀 득점에 미친 영향이 훨씬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.

최정 (SSG 랜더스)
꾸준히 wRC+ 140~150대를 유지하는 타자로 삼진이 많지만, 그보다 훨씬 높은 장타율과 출루율로 이를 상쇄하였습니다.
홈런 하나가 단순히 1루타 세 개보다 훨씬 큰 득점 가치를 갖는다는 사실을
wRC+는 정확히 보여줍니다.

이정후 (키움)
KBO 마지막 시즌(2022) wRC+ 180 수준.
이는 리그 평균보다 80% 이상 효율적인 타격을 했다는 뜻입니다.
타격, 출루, 주루 판단까지 완벽히 결합된 공격형 타자의 표본이였습니다.


⑤ 수치 해석 기준

wRC+ 수준 설명
60 이하 교체 수준 득점 기여 거의 없음
80~100 평균 수준 리그 보통 타자
120~140 올스타급 평균보다 훨씬 효율적
150 이상 MVP급 압도적인 득점 생산력

즉, wRC+는 단순히 “안타를 잘 치는가”가 아니라
**“얼마나 효율적으로 팀 점수를 만들어냈는가”**를 측정합니다.


⑥ WAR과 wRC+의 관계

WAR이 ‘종합적인 팀 기여도’,
wRC+는 그중 ‘공격 부문’만 따로 떼어낸 지표입니다.

예를 들어,

  • 김혜성처럼 주루와 수비까지 뛰어난 선수는 WAR이 높지만 wRC+는 보통 수준일 수 있습니다.

  • 반면 양의지나 최정처럼 공격 집중형 타자는 WAR보다 wRC+가 훨씬 높게 나오게 됩니다.

즉, wRC+는 “타석 내 효율”의 언어,
WAR은 “전체적인 경기 영향력”의 언어 입니다.


⑦ 마무리 — 효율의 야구를 말하다

야구는 단순히 “몇 번 안타를 쳤는가”의 게임이 아닙니다.
한 번의 출루, 한 번의 장타, 한 번의 희생플라이
얼마나 효율적으로 팀 득점에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wRC+ 입니다.

KBO의 대표적인 고효율 타자들 — 이정후, 양의지, 최정 —
이들의 공통점은 “타석에서 헛된 스윙이 거의 없다”는 것입니다.
그들의 모든 스윙, 출루, 장타에는 ‘득점 가치’가 숨어 있습니다.
그래서 세이버매트릭스는 타율 대신 **wRC+**를 봅니다.
그 한 타석이, 얼마나 팀을 이기게 만들었는가를 보기 위해서 입니다.